혈당 낮추려고 먹었는데 잘못 먹고 있는 건 아닌가요?
혈당 관리에 좋은 음식으로 '시나몬'과 '계피'가 자주 등장합니다. 저도 최근 혈당에 관심이 많아져서 건강에 좋다는 '시나몬'을 꾸준히 챙겨 먹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인터넷에서 이런 글을 봤습니다.
"혈당 낮추려면 시나몬을 먹어야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계피를 먹고 있더라고요!"
'시나몬계피차이'를 제대로 모르고 먹었다가 오히려 간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말에 깜짝 놀랐거든요. 여러분도 저처럼 정확한 정보를 모르고 시나몬과 계피를 혼동하고 있진 않나요?
오늘은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시나몬계피차이'에 대해 정확하고 명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① 시나몬과 계피,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재료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나몬과 계피를 같은 재료로 생각합니다. 마트에서 판매하는 제품에도 명확한 구분 없이 그냥 '시나몬'이라는 라벨이 붙어있죠. 하지만 사실 둘은 명확히 다른 종입니다.
- 계피(Cassia Cinnamon)
주로 중국, 베트남 등지에서 생산되는 계피는 향이 강하고 매운맛이 뚜렷합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며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계피에 포함된 성분인 쿠마린입니다.
- 시나몬(실론 시나몬, Ceylon Cinnamon)
스리랑카에서 생산되는 실론 시나몬은 부드럽고 달콤한 향이 특징이며, 쿠마린의 함량이 매우 낮아 장기간 섭취에도 비교적 안전합니다. 유럽에서는 건강 목적으로 주로 실론 시나몬을 섭취합니다.
즉, 혈당 관리 목적으로 꾸준히 먹는다면 쿠마린 함량이 적은 실론 시나몬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② 혈당 낮추는 음식, 왜 실론 시나몬을 권장할까요?
시나몬은 실제로 혈당을 낮추고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음식입니다.
2020년 미국 당뇨학회에서 발표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시나몬을 하루에 1~2g씩 섭취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공복 혈당이 평균 10~20mg/dL 낮아지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시나몬의 종류입니다.
- 독일 연방위험평가원(BfR)의 발표에 따르면 계피(Cassia)에는 실론 시나몬보다 쿠마린이 100배 이상 더 들어있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 쿠마린은 장기간 과다 섭취 시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당뇨가 있거나 간 기능이 약한 분들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즉, 혈당 낮추는 음식을 꾸준히 먹기 위한 안전한 선택은 실론 시나몬인 것이죠.
③ 마트에서 흔히 보이는 시나몬, 진짜 맞을까요?
우리가 흔히 마트에서 구매하는 '시나몬 가루'는 대부분이 계피(Cassia Cinnamon)입니다. 실제로 국내 시판 '시나몬 분말' 제품을 조사한 결과 약 90% 이상이 Cassia 계피였으며, 쿠마린 함량이 유럽연합(EU)의 일일 허용량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습니다(한국소비자원, 2022).
이는 우리가 '시나몬계피차이'를 모르고 건강을 위해 먹었다가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④ '시나몬계피차이', 현명한 선택을 위한 간단한 구별법
그렇다면 어떻게 실론 시나몬과 계피를 쉽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두 가지 팁을 드리겠습니다.
- 첫째, 라벨을 확인하세요.
'실론 시나몬(Ceylon Cinnamon)'이라고 명확하게 표기된 제품을 고르세요. 일반적인 계피는 그냥 시나몬 또는 Cassia Cinnamon이라고만 표시됩니다. - 둘째, 색깔과 향을 비교하세요.
실론 시나몬은 계피에 비해 옅은 갈색이며, 매운 느낌보다 달콤한 향이 납니다. 계피는 상대적으로 짙은 갈색에 매운 향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이 간단한 방법만으로도 혈당 관리를 위한 보다 안전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이제부터 혈당 관리 제대로 시작해보세요!
오늘부터는 혈당을 낮추기 위해 시나몬을 고를 때 반드시 '시나몬계피차이'를 기억하세요. 건강을 위해 챙겨 먹는 음식이 오히려 건강을 해쳐선 안 되니까요.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기침 계속된다면… 맥문동효과, 알고 나면 달라지는 진실 (0) | 2025.04.21 |
---|---|
상처엔 무조건 후시딘? 이런 경우엔 절대 바르지 마세요 (0) | 2025.04.21 |
토마토, 냉장고에 그냥 넣지 마세요! 7일 더 신선한 초간단 보관법 (0) | 2025.04.20 |
지금 병원 가야 할까? 오른쪽 아랫배 통증, 이럴 땐 위험 신호! (0) | 2025.04.19 |
왼쪽 옆구리 통증, 복부일까? 신장일까? 헷갈리는 통증 정확히 구분하는 법 (0) | 2025.04.18 |
댓글